Virtual DOM React에는 virtual DOM이라는 가상의 DOM 객체가 존재 실제 DOM 객체에 접근하여 조작하는 대신 Virtual DOM 객체에 접근하여 전후를 비교, 바뀐 부분을 적용 Virtual DOM 활용 이유 DOM은 브라우저가 트리구조로 만들어진 객체 모델이기 때문에 JavaScript는 쉽게 DOM 객체에 접근할 수 있고, 조작 가능 프로그래밍 언어로 조작하는 DOM은 애플리케이션 UI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전체 업데이트. 이런 렌더링은 브라우저의 구동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DOM의 조작 속도는 느려짐 일정 부분이 바뀐다면 전체가 아닌 바뀐 부분만 렌더링 하기 위해 Virtual DOM이 등장 Virtual DOM 객체는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직접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실..